top of page

Venice Biennale

Venice Biennial ECC(European Cultural Centre), Italy

Oh-Myung-Hee-advert-276x183mm-v4.jpg

The days were snowy but warm (450X227)(150x227cm 3piece) photo printed on canvas, mother of pearl 2022

PARTNER WITH

Samsung_TheFrame_logo.png

SUPPORTED BY

Korea Founation_logo.png

SUPPORTED BY

NvirWorld_blue.png

SPECIAL THANKS

logo.png
Reviews
A Tapestry of Ecstasy and Sorrow

Art critic

Former Director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of Korea, Former Director of Museum SAN

Welcome to the World of Myung-Hee Oh

 

Imagine colorful scarves riding the wind, floating over grass. The world of Myung Hee Oh was unveiled in the early nineties with an oeuvre featuring vibrant scarves drifting over green grass. Truth be told, Myung Hee Oh saw a plastic bag being carried away by the wind and she was overpowered by a sense of immeasurable freedom and unrestraint. The plastic bag metamorphosed into a scarf leading the way into the unique fantasy world of Myung Hee Oh. It is not uncommon for an insignificant daily incident to be a source of inspiration for artists; however, to see a discarded plastic bag being swept away by a gust of wind and to transform it into a colorful scarf is truly unparalleled.

Since then her paintings and images have overflowed with colors and emotions. The scarf swept up into the sky and then landing gently on the grass fueled and enriched her creativity. This is not a staged scene, but more of an imaginary space that subtly weaves reality and a world beyond reality. The world she paints is not one of natural objects. She expands the reality that embraces her and channels it into another space that is filled with a sense of foreboding. By attempting to transcend such a reality, she creates a singular dimension of fantasy for her audience. It would be too simplistic to state that it is a coexistence of reality and the surreal.

To begin with, the structural strata in her paintings defy definition by conventional standards. Her images weave together the breadth of the exterior with the depth of the internal, simultaneously weaving space and time. To quote the artist herself, the motif she chooses for her works is “to be completely feminine at least in my artistic world…to attempt to draw femininity.” Her motif is not that different from the choices made by other ordinary women. However, what sets her apart is her choice and the way she expresses femininity in her paintings. It is not an inert form of femininity but rather it speaks to emotions in order to expose them. Hwajo – flowers and birds. Hwajo are certainly not new to paintings. In fact, Hwajo is a traditional category of paintings. So what does Myung Hee Oh bring to Hwajo? The flowers and birds she paints are the very objects of femininity because she uses them to express and materialize women’s emotions and feelings. On the surface, there is opulence but the internal feelings envelop tranquility, virtuosity and compassion. This is the culmination of a glorious life as well as agonizing sadness of what will disappear in vain. The images are replete with gorgeous flowers. The feast of birds and butterflies fluttering between the cherry blossoms in full bloom and apricot flowers leaves the viewers mesmerized and in awe in that one enchanting moment. But, nothing in life lasts forever; in an instant, the flowers are swept away by the wind to fill the canvas like snowflakes. The momentary, fleeting spring day evokes the futility of life. As an old poet once sang, “Are fallen flowers not flowers? Why would you sweep them away?”

The internal and the superficial contrast with time and space. It is a structure interwoven by the depth of the internal and the breadth of the surface. The internal bores deeper and deeper over time and the surface expands into infinite space. Black and white photos replace the depth of the internal. The faded photos evoking historical events which occurred over a half century ago, incite feelings of sympathy and compassion from the viewers. A photo of teenagers and a commemorative photo of a large family are beyond the depths of time. On the surface, the photos overlap with the scene of a full spring day. Time beyond the glamorous scene feels even more distant.

The breadth of space is unpretentiously represented by a large canvas. Sometimes it takes the form of a folding screen that spreads out into multiple panels. Without this breadth, the internal depth can not be expressed fully. Among Myung Hee Oh’s latest works, a large painting featuring the photos of three women in the center catches one’s eye. In this three-paneled work, the image of a typical Korean woman takes center stage. She represents the mother of the past. On the left panel is the image of Hye-seok Na. She represents modern Korean woman in the 1930s. On the right panel is Marilyn Monroe. Marilyn Monroe? is the natural reaction. These three women have nothing in common except for the fact that they are women. These three women awkwardly coexisting on a canvas were based on the artist’s own unique image of women being manifested in her paintings of femininity. The image of the woman in a hanbok, traditional Korean clothes, is a typical woman or the image that Koreans have of mothers in the past. The woman on the left, Hye-seok Na, was the first female painter and writer of modern Korea and represents modern woman who broke from old customs and systems. Hye-seok Na fought against the social injustices imposed upon her which resulted in an unfortunate end. The artist intentionally chose Marilyn Monroe on the right. As a young girl, the artist read Marilyn Monroe’s autobiography and discovered that she shared the hidden emotions and feelings of the actress who was incomparably more free-spirited than the other two Korean women. Marilyn Monroe talked about her visit to Korea. “17,000 soldiers screamed in front of me. I stood before them and smiled. It started to snow, but I felt warm, as if I was standing in the bright sun….I felt at home.” Monroe visited Korea towards the end of the Korean War to boost the morale of the American troops.

Professor Young-baek Jeon, an art historian, described Myung Hee Oh as “an artist who uses various materials and constantly tries new media experiments.” His words resonate with viewers throughout the artist’s oeuvres. Her works move from ink paintings to color paintings, only to push ahead to oils and acrylic paints. She then progresses to collages, mobiles, three-dimensional objects, and more recently, to video images. However, it is not that she is adapting her world to the new medium. Rather, the selection and use of new materials are nothing more than a means to further enrich the world of her works. As such, we discover that the new materials and medium blend naturally into her works. In particular, the artist embraced lacquer and mother-of-pearl in a most original manner which further accentuated the decorative elements of her works. Traditionally, in Korea, lacquer and mother-of-pearl were applied to the objects used in the boudoir – an exclusive space for women. The use of these materials to create modern images is a rediscovery and an incomparable choice in and of itself. Her choice was inspired by her childhood experiences since the boudoir was also the living space for children, like a cradle. Perhaps images of her mother’s jewelry chest in the boudoir had been buried deep in her memory for a long time and they have broken free and are reappearing in her works. Myung Hee Oh’s paintings of femininity have materialized before us in another dramatic presence.

평론

환희와 슬픔의 직조(織造)

미술평론가

국립현대 미술관장, 뮤지엄산 관장역임

오명희의 작품세계

오명희의 작품에서 보이는 환상적인 내용은 90년대 초 풀밭 위를 날아오르는 화려한 색채의 스카프를 모티브로 한 작품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애초에 스카프가 아닌 비닐봉지가 바람을 타고 공중으로 날아오르는 광경에서 어떤 신비로움과 더불어 한없는 자유와 해방의 감정을 가졌다고 하는데 비닐봉지가 스카프로 바뀌면서 자신의 고유한 환상의 체계가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우연한 일상의 어떤  현상이 예술가들에게 풍부한 영감의 원천으로 작용하는 경우는 흔히 있을 수 있는 일이나 버려진 비닐봉지가 바람을 타고 창공으로 떠오르는 하잘 것 없는 한순간이 그에게 풍부한 창조적 희열로 작용했다는 것은 참으로 예외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이후 그의 화면은 화사한 색채와 더불어 부풀어 오르는 감정으로 물들게 된다. 바람을 먹고 날아올랐다가 풀밭 위에 사뿐히 내려앉은 스카프는 그의 창조적 세계를 더욱 풍부하게 가꾸어준 자양이 되고 있음을 엿보게 된다. 풀밭 위에 내려앉은 또는 막 떠오르는 스카프는 단순히 연출된 장면이 아니라 미묘하게 현실과 현실 너머의 세계를 직조해가는 상상의 공간으로 변신하게 된다. 그러니까 그가 그리는 세계는 일반적인 자연대상을 모티브로 한 것이 아니라 자신을 에워싸고 있는 현실로서의 공간과 부단히 그것을 초극하려는 어떤 예감에 넘치는 또 하나의 공간으로 확대되면서 그 독자의 환상의 차원을 만들어가는 것이다. 이를 간단하게 현실과 초현실의 공존으로 도식화하기에는 걸맞지 않다.

 

우선 그의 화면이 보여주는 구조의 층위는 지금까지의 회화로서의 형식으로 재단할 수 없게 한다. 표면적인 것과 내면적인 것 즉 표면으로서의 넓이와 내면적인 것의 깊이로 직조되는 화면은 공간과 시간의 직조로서의 다층적인 구조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가 선택하고 있는 모티브는 작가 자신이 말했듯 “내 작품세계에서만큼은 오롯이 여성적이고자 함이요..... 여성적 그리기를 시도” 한 것이다. 그가 다루는 모티브는 일반적인 여성들의 선택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럼에도 유독 여성적 그리기란 언술에서 그 독자적 선택과 방법을 발견하게 된다. 그것은 관성으로서의 여성적인 것이 아니라 여성으로서의 정감의 실현을 주도해나가는 것에 다름 아니라 할 수 있다.

그가 다루는 모티브의 중심은 화조다. 화조는 전통적인 화목(畵目)으로 널리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가 그리고 있는 화조는 여성적 그리기로서의 대상이다. 여성의 정감 실현으로서 화조이지 않으면 안 된다. 그것은 표면적인 것으로서의 화사함과 내면적인 것으로서의 여성의 정감의 어떤 표상 - 즉 고요함과 정숙함과 연민의 극치를 나타내지 않으면 안 된다. 찬란한 삶의 절정이 있는가 하면 덧없이 사라질 것의 애달픈 슬픔이 담기지 않으면 안 된다. 화면은 화려한 꽃으로 뒤덮인다. 흐드러지게 피어있는 벚꽃과 매화 이 사이를 오가는 새와 나비의 향연은 보는 이들에게 황홀한 순간에 잠기게 한다. 그러나 어느덧 꽃은 바람에 날려 눈송이처럼 화면을 가득 채운다. 삶의 속절없음을 불러일으킨다. 봄날이 가듯이. 옛 시인은 이를 두고 이렇게 안타깝게 노래 불렀다. “낙환들 꽃이 아니랴 쓸어 무삼하리오”

 

내면적인 것과 표면적인 것은 시간과 공간의 대치이다. 안의 깊이와 밖의 넓이로 짜인 구조이다. 안은 시간으로 인해 한없이 깊어지고 밖은 공간으로 인해 한없이 펼쳐진다. 흑백사진으로 대체되는 안의 깊이는 빛바랜 사진의 내용과 더불어 반세기를 넘는 옛날의 상황은 보는 이들에게 안쓰러운 연민의 감정을 자아내게 한다. 청년들의 단체 사진, 대가족의 기념촬영은 더욱더 깊어지는 시간의 저 너머에 있다. 표면은 무르익어가는 봄날의 장면이 겹쳐진다. 화려한 공간 저 너머의 시간은 더욱더 아득하기만 하다.

공간의 넓이는 자연스럽게 대형의 화면으로 나타난다. 때로는 여러 폭으로 펼쳐지는 병풍 형식을 띠기도 한다. 아마도 이 넓이가 아니라면 내면의 깊이는 온전히 살아남지 못할 것이다. 그의 근작으로 대형 화면 가운데 세 여인이 등장하는 것에 눈길이 간다. 세 개의 면으로 이루어지는 화면엔 깊이로서의 대상에 전형적인 한국의 여인상, 전 시대의 어머니상이 가운데 자리잡고 왼편엔 30년대 대표적인 한국의 신여성인 나혜석이 자리잡는다. 오른편엔 예외적이라 할만한 마릴린 먼로가 등장한다. 이들 세 여인은 여성이란 점 외에는 어떤 공통성도 지니지 않는다. 다소 엉뚱한 세 여인의 화면에서의 공존은 어쩌면 작가의 독특한 여성상에 대한 “여성적인 것에 대해 그리기”의 대상으로 호출된 것임이 틀림없다. 가운데 한복의 여인상은 전시대 전형적인 한국의 여인상 또는 어머니상임이 틀림없다. 왼편의 여인은 근대기의 최초의 여류화가이자 문필가인 나혜석은 오랜 관습과 제도를 일탈한 대표적인 신여성이다. 여성임으로써 불리한 조건에 당당히 맞서다 불행하게 최후를 맞은 여인이다. 오른편의 마릴린 먼로는 먼로의 자서전을 읽고 감동하여 특별히 선택된 것이다. 앞의 두 한국 여인상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을 자유분방한 먼로의 내면에 도사린 여성적인 정감을 공유함으로써이다. “17000명 군인들이 내 앞에서 목청껏 소리를 질렀다. 나는 그들 앞에 서서 웃었다. 눈이 막 오기 시작했지만 나는 마치 밝은 태양 아래 서 있는 것처럼 따뜻했다. .....나는 집에 있는 것 같은 느낌이었다.” 6.25동란이 끝나갈 무렵 한국전에 참여한 미군들을 위문하기 위해 내한한 먼로의 모습에서 그의 “여성적인 그리기”의 대상을 발견한 것이다.

 

미술사학자 전영백 교수는 작가를 두고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매체의 실험을 시도하는 작가”라고 하였다. 그의 전 작품을 일관해보면 이 말을 실감한다. 수묵화에서 채색화로, 다시 유화와 아크릴 물감의 사용으로 진전되는가 하면 콜라주와 모빌, 입체 오브제로 그리고 근래에 오면서는 영상물의 등장에까지 이르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이 새로운 매체에 자신의 세계를 맞추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재료의 선택과 원용은 그의 작품의 세계를 더욱더 풍요롭게 하기 위한 수단에 지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그러기에 이 새로운 재료와 매체가 극히 자연스럽게 그의 작품 속에 녹아들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특히 재료의 발견 가운데 옻칠과 자개는 가장 독창적인 수용으로 인해 그의 작품이 지니고 있는 장식적인 요소를 더욱 돋보이게 하고 있다. 옻칠과 자개는 전통적인 한국 여인의 공간 - 안방의 기물에 적용된 것으로 그것이 현대적 화면 속에 원용되었다는 것은 그 자체가 발견이요 독특한 선택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아마도 이는 그의 유년의 경험에서 유추된 것임이 틀림없다. 한국 여인의 방 -안방- 은 유년기 아이들의 삶의 터전이기도 하였다. 일종의 요람으로서 말이다. 그곳에 놓여있는 어머니의 장식함은 오랜 기억 속에 잠재되었다가 작가의 화면에서 되살아난 것임에랴. 작가의 “여성적 그리기의 시도”가 또 하나의 극적인 현전으로 우리 앞에 나타난 것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The days were snowy but warm (450X227)(150x227cm 3piece) photo printed on canvas, mother of pearl 2022

Artist's note
It was snowy, but it was warm
January 2022
Oh Myung Hee

My story begins with an old photo album.

Not long after I got married, I stumbled upon a family photo album that my father-in-law had meticulously organized for a long time.

It was a record of the history of a family that had gone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Korean War.

It was not very different from that of any other families in its details, so it brought out some memories of my life that had been buried in my mind.

There was one faded family photo that caught my eye.

At first, I was interested in and attracted to the little children's flattop and costumes. It was a photo of a large and happy-looking family with so many more men than women. 

While examining with curiosity, I noticed the three people sitting in the front row – a grandfather, a grandmother sitting next to him and a younger-looking grandmother next to her.

It was a commemorative photo for the grandfather's 60th birthday, so there was another photo of just the three of them.

It was an image that showed the patriarchy of that time.

That is, it was a picture of a man and two women – his wife and a concubine.

They looked happy, but I could guess from the photo that the grandmother was not actually as happy as she looked in the picture.

In my painting of the family photo, I placed the older grandmother and the younger grandmother on both sides of the center.

It reminded me of one moonlit night from my childhood.

That night, I followed my mother to the well where she started to beat her chest out of agony. On that day, my mother, who could not give birth to a son, paid to a mute maiden and put her in my father's room. She could not sleep so she came out to the well to ease her frustration.

It is not an ancient story.

Even at a young age, I thought that a woman's life was quite sorrowful.

Another painting of mine features Na Hye-seok, a representative modern Korean woman who led an independent life with intelligence and talent but had a tragic ending because she was too ahead of her time.

I do not fully agree with her way of life, but she was definitely a forerunner who had a great influence on other women living in modern times, knowingly and unknowingly, as a talented novelist and painter, a wife and a mother, and an individual woman.

In the center of the painting, I placed a traditional woman who represents most of Korean mothers who have sacrificed their lives for families.

The third figure, Marilyn Monroe, may feel a bit odd considering the two other Korean women. The first time I heard about her was from a Korean language teacher in middle school who told me that she had visited Korea in February 1954 to boost morale of American soldiers right after the end of the Korean War.

Since then, whenever I saw Marilyn Monroe in the media, I somehow felt close to her and started to like her more.

At that time, she had visited Japan on a honeymoon with Joe DiMaggio, a famous baseball player, and a U.S. military officer who heard about it asked if she could perform for the soldiers who had crossed the Pacific Ocean and suffered because of the Korean War. Her husband refused it, saying, "We are on our honeymoon." The American officer said to Joe DiMaggio, "I am not asking you, I am asking your wife" and looked at Monroe. She answered "yes" and flew to Korea, a country devastated by the war where there was no place to even change her clothes. In the cold weather of February, she put on a passionate performance wearing a sleeveless dress and became a great idol for the American soldiers.

I believe what she did shocked Korean women greatly but impressed them at the same time.

What they witnessed was a world-famous star from the West who acted according to her own will.

It reminds me of pop culture and dance that were widely popular through the Eighth US Army, women who were called Yanggongju (derogatory term for Korean sex workers involved with US soldiers), and the Korean novel Free Woman during my childhood.

The group photo of men contrasts with what these women represent.

I usually feel that men are surprisingly shy and timid individually, but become so strong and even violent as a group. Korea became such a male-centric society partly due to Confucianism, but the group experiences of Korean me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modern history may have had an impact as well.

I live as a wife and mother, but I am trying to find meaning of my life as an artist too.

My works are a journey to find warmth in the passing moments of life.

Spring comes and goes as life continue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 want to seize the memories in the warm and splendid moments with weeping cherry blossoms and apricot flowers in full bloom.

As birds fly carelessly and petals are scattered.

(I am grateful to my father-in-law, who is not in this world anymore, for making this exhibition possible.)

작가노트

눈이 내렸지만 따뜻했다

2022년 1월

내 이야기는 오래된 사진첩 한 권에서 시작된다.

결혼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나는 시아버지께서 오랜 기간 꼼꼼히 정리해 오신 가족 사진첩을 보게 되었다.

일제강점기를 보내고 한국전쟁을 겪어낸 가족사의 기록이었다.

그 기록은 내용면에서 본다면 어느 집의 기록이나 별반 다르지 않았고, 내 기억 저편의 삶의 순간들을 끄집어냈다.

빛바랜 가족사진 한 장에 눈길이 머물렀다.

처음엔 꼬마 아이들의 상고머리나 의상 등이 재밌고 정감이 있었고 유독 남자들이 많은 이 사진은 매우 다복해 보이는 대가족 사진이었다.

흥미 있게 바라보던 나는 앞줄에 앉아있는 세 사람

할아버지 옆에 앉은 큰할머니 그 옆에 작은할머니를 주목하게 되었다.

그날이 할아버지 회갑(60살을 기념하는)기념 사진이어서 이 세분은 따로 찍은 사진이 또 있었다.

그 시절 가부장제를 보여주는 한 장면이었다.

그러니까 본처와 첩이라 불리는 여인이 있는 사진인 것이다.

다복해 보였지만 사진에서 보여 지는 할머니의 표정처럼 행복하지만은 않았을 것을 짐작케 하는 사진이었다.

나는 가족사진을 가운데 넣고 양쪽에 큰할머니 작은할머니를 넣어 그렸다.

내 유년의 어느 달 밝은 밤이 떠올랐다.

그날 밤 나는 내 어머니를 따라 우물가에 갔는데 어머니가 가슴을 치며 괴로워 하는 장면인데 그 날은 아들을 낳지 못한 어머니가 벙어리 처녀를 사서 아버지 방에 넣어 주고 자신은 잠을 이룰 수 없어 타는 속을 식히려고 우물가로 나와 있었던 것이다.

아주 먼 옛날 이야기도 아니었다.

어린 나이에도 나는 여인의 삶이 참 슬프다고 생각했다.

또 하나의 내 그림에는 일찍이 높은 학식과 재능으로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살았고 시대를 너무 앞서간 탓에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던 한국의 신여성의 대표적인 인물 나혜석을 그려 넣었다.

그녀의 삶의 방식에 전적으로 동의하는 건 아니지만 그녀가 재능 있는 소설가로 화가로 아내, 어머니로 인격체로서의 한 여인으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여성들에게 알게 모르게 끼친 영향이 분명히 컸을 나의 선배였을 것이다.

그림의 가운데엔 자신은 없고 가족을 위해 희생하며 순종하는 삶을 살아온 다수의 한국 어머니, 전통적 여인을 넣었다.

세 번째 등장하는 다소 이질감이 느껴질 수 있는 마릴린 먼로 작품은 내가 중학교 때 국어 선생님으로부터 그녀에 관한 얘길 처음 들었다.

한국전쟁이 끝난 직후 1954년 2월 한국에 위문공연을 왔었다는 거였다.

그 이후 나는 매체에서 마릴린 먼로를 볼 때마다 왠지 친근감이 느껴지고 그녀가 더 좋게 느껴졌다.

그녀는 그 당시 유명한 야구선수 조 디마지오와 신혼여행차 일본에 왔었는데 마침 이를 안 미군 장교로부터 ‘어렵게 태평양을 건너왔으니 한국전쟁 때문에 와서 고생한 장병들을 위로하는 공연을 해줄 수 있느냐’는 요청을 받았다. 이 때 남편이 "우린 신혼여행 중이다"라면서 거절하였다. 그러자 그 미군 장교는 조 디마지오에게  "난 당신에게 물은 게 아니고 당신 부인에게 묻는거다”라고 하면서  먼로를 보자 먼로는 "yes”라고 대답하고 한국에 날아와서 전쟁으로 피폐해져 옷 갈아입을 곳조차 없는, 더우기 2월의 혹한 속에서도 끈나시 드레스를 입고 너무나 열정적인 무대를 펼친 그녀는 미군과 UN군의 우상이 되었다.

그녀의 이런 행동은 그 당시 한국 여인들에게는 엄청난 문화적 충격과 함께 큰 감동을 주었으리라고 생각한다.

자신의 의지대로 행동한 서양에서 온 세계적인 스타를 본 것이었다.

내 어릴 때 미8군을 통해 활발히 전개됐던 POP 문화와 댄스,  '양공주' 라 불리우던 여인들, 소설 자유부인 등이 연계되어 떠오른다.

 

이들 여인들과 대비되는 남자들의 집단 사진이 있다.

평소 난 남자들이 개인적으로 대할때는 의외로 수줍고 소심해 보이다가도 집단이 됐을 때는 매우 강해지고 심지어 폭력적으로 다가올 때가 많다는 것을 느낀다.  해서, 한국에서 남성 위주의 사회가 됐던 배경에는 유교 사상도 있었겠지만 근대사에 일제강점기를 통해 이러한 남성들의 집단 경험들이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내로 엄마로 살아가는 나는 또한 작가로서의 삶에서 의미를 찾고자 한다.

나의 작품은 스쳐 지나가는 삶의 자락에서 온기를 찾는 여정이다.

세대에서 세대로 이어지는 삶의 지속 가운데 봄날은 오고 간다.

나는 능수 벚꽃, 능수 매화가 만발한 그  따뜻하고 화려한 순간 속에 기억들을 붙잡아 두고 싶다.

무심히 새가 날고 꽃잎이 흩날린다.

 

(이 전시를 가능케 해주신 지금은 이 세상에 안계신 시아버님께 감사를 드린다.)

what are you trying to achieve through this exhibition
and perhaps within the context of what is happening in the world
March 18th 2022
Oh Myung Hee

My works speak of a collective memory. My generation did not directly experience war; nevertheless, we share the pain of our mothers and grandmothers who bore the scars of war. In Korea, the lump in one’s heart that is filled with pain is expressed as han. At first glance, my works might appear flashy, but a closer look reveals the frailty which resembles the emotions of han or the DNA of emotions. Today I read another article about an unknown soldier who died in the Korean War finally finding rest in the arms of his family. Though 70 years have already passed, the pain of losing a family member never diminishes, and, I believe that as Koreans we can all share the pain. Even right now, there is another country which is facing such suffering. It is my hope that the pain that Ukraine is suffering will come to an end soon.

 

Just as in life, my works aim to communicate the message that though we face pain, conflict and innumerable difficulties, spring comes around again, and just like flowers blooms, so does hope and warmth.

2022년 3월 18일

내 작품들은 집단기억을 말한다. 나는 전쟁을 직접 겪은 세대는 아니지만 전쟁의 상흔을 가진 우리의 어머니, 할머니의 아픔을 공유한다.

한국에서는 그런 응어리진 아픈 마음을 '한'이라고 표현한다. 내 작품 은 언뜻 화려해 보이지만 애잔한데, 그 한의 정서와도 닮아 있다.

정서의 DNA라 할 수 있다. 오늘도 나는 한국전쟁 때 이름없이 숨진 전사자의 유해가 가족을 찾게 됐다는 기사를 읽었다.

70여년이 지났지만 가족을 잃은 상처는 현재진행형이고 한국인이면 누구나 그 아픔을 공감한다고 생각한다.

지금 이 시간 그런 아픔을 마주하고 있는 나라가 있다. 전쟁에 반대하며 우크라이나가 겪는 고통의 시간이 빨리 끝나길 바란다.

 

내 작품은  삶속에서  마주하게되는 고통과  갈등 수많은 어려움 에도 불구하고 

다시 봄이오고 화려한 꽃을 피우듯   희망과  따뜻한 온기를 전하려 한다.

The days were snowy but warm (300X227)(150x227cm 2piece) photo printed on canvas, mother of pearl 2022

Curators’ Introduction
London, February 2022
Tatiana Palinkasev and Eva McGaw

In this exhibition the artist, Oh Myung Hee, explores the pivotal years when ‘traditional’ South Korea began transforming into a modern-day society. She mixes old Hwajo techniques with new materials and technology, applying it on a series of family photographs. The artist also creates video works for a black lacquered cabinet from Jeju Island, where she spent her summers as a child, bringing those memories forward to our time and space. Through her multimedia artistic expression and her female gaze with a historic distance, the artist mirrors the remarkable journey South Korea has undertaken to become one of the world’s most prosperous nations.

In her quest, Oh Myung Hee is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social changes that occurred amongst South Korean women in 1954. These were partly inspired by Marilyn Monroe’s morale boosting visit to the American troops stationed there, following the armistice in 1953. She juxtaposes the image of a traditional Korean wife in an unassuming, monochromatic dress, seated in a dignified position with scarcely clad, confident and free Monroe standing in front of 17,000 American soldiers on one side. On the other side instead, she put Hye-Seok Nah, the Korean pioneering feminist, writer and artist, elegantly dressed with a luxurious fur collar, l’enfant terrible of her times. Both women ended their lives tragically, Monroe taking her own and Hye Seok Nah in abject poverty.

It was while remembering that performance in front of the American troops in Korea that Monroe recollected that ‘it was snowing but it felt warm, it felt like home’.

 
Oh Myung Hee also contrasts the images of a large Korean family from her father-in-law’s photo album, with two ‘wives’ on each side, the “main wife (bon-cheo)” and the “second wife (cheop)”, seemingly content. There is a stark contrast in the narrative of these images of solitary women, traditional or not, standing alone and strong, with the image of the two groups of men, tightly squeezed together and uniformly dressed, emanating the strength of a group.
 

This period can be considered as marking a turning poi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in a male dominated culture, often regarded as a legacy of the Imperial Japanese era. It also marks the beginning of an era of personal liberation and wider social participation of women, the formation of pop art and moulding of a modern society as we know it today.

Oh Myung Hee observes this transformation in the fabric of modern South Korea through a prism of Westernization, Korean traditionalism and Japanese colonial influences. In her artistic exploration, she highlights the complexities of the newly formed society and the intricacies of women’s role. 


The series of works of art ‘The Days Were Snowy But Warm’ and ‘Nostalgia’ shown in this exhibition, also form a part of Oh Myung Hee’s artistic inquiry into the significance of individual and collective memory. She works with factual black and white photographs, cool records of the passed time but also precious family memories and embellishes them with the perpetual beauty of blossoms. It is an inevitable cycle of nature that never fails to return bringing us joy and the artist is using that idea to project her emotions onto the canvas. Likewise, the birds in her works of art symbolize the yearning of her spirit for utmost freedom.

 

“My works speak of a collective memory,” remarks Oh Myung Hee. “My generation did not directly experience war; nevertheless, we share the pain of our mothers and grandmothers who bore the scars of war. In Korea, the lump in one’s heart that is filled with pain is expressed as ‘Han.’ At first glance, my works might appear flashy, but a closer look reveals the frailty which resembles the emotions of ‘Han’ or the DNA of emotions.

 

 

The artist’s working practice in this series is painstaking and time-consuming, requiring great patience and endeavour, reminiscent of traditional female Korean crafts. The large size of her paintings makes the viewer feel part of the ‘memory’, a protagonist of the story that is somehow still playing in our times, like the animated videos in her Korean lacquered cabinet. It is in these video works that she makes the memories come alive with movement and music. Using the traditional methods and modern media, she gives a personal, exhilarated touch to these memories of bygone days.


Through this traditional work with mother of pearl, meditative and time-lapse working process and in conjunction with the use of modern technology, the artist takes us down our own memory lane, as if she wants us to be a part of this very recollection captured in a photograph. Oh Myung Hee intertwines the factual world of her father-in-law’s family photo album with her own re-created exuberant world, bursting with enchant, in which her soul flies freely like the silk scarf twirled by the wind she often uses in her art. In Oh Myung Hee’s words “Just as in life, my works aim to communicate the message that though we face pain, conflict and innumerable difficulties, spring comes around again, and just like flowers bloom, so does hope and warmth.”

큐레이터의 글

2022년 2월 런던

이번 전시에서 오명희 작가는 ‘전통적인’ 한국이 현대사회로 변모하기 시작한 중요한 시기를 탐구한다. 옛 화조 기법과 새로운 소재 및 기술을 혼합해 이를 일련의 빛 바랜 가족 사진에 접목한다. 작가는 어린 시절 여름을 보냈던 제주도에서 온 검은 옷칠장을 위한 비디오작품을 만들어 과거의 기억을 현재의 시공간으로 소환한다. 멀티미디어를 통한 예술적 표현과 역사적 거리에서 여성의 시선을 바탕으로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번영한 국가 중 하나가 되기 위해 걸어온 놀라운 여정을 보여준다.

 

이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작가는 1954년 한국 여성들이 겪은 사회적 변화에 특히 관심을 갖는다. 1953년 정전협정 이후 주한미군의 사기를 북돋아준 마릴린 먼로의 방한에서 어느정도 영감을 얻었다. 작가는 단정한 단색 치마를 입고 품위 있게 앉아있는 전통적인 한국 여인의 이미지와 1만7천명의 미군 병사들 앞에서 노출 심한 옷을 걸치고 당당하고 자유분방하게 서 있는 먼로를 병치한다. 다른 한 쪽에는 고급스러운 모피 외투를 우아하게 걸친 한국의 선구적인 페미니스트이자 작가, 예술가인 당시 사회규범에 정면으로 반기를 든 나혜석을 배치했다. 먼로와 나혜석 모두 비극적으로 삶을 마감했으니, 전자는 스스로 목숨을 끊고 후자는 극빈으로 죽어갔다.

훗날 먼로는 한국에서의 공연을 떠올리며 '눈이 왔지만 따뜻했다'고 회상했다고 한다.

 
또한 작가는 시아버지의 사진 앨범에 있는 한국 대가족의 모습들을 대비시킨다. 양쪽에 각각 ‘본처’와 ‘첩’, 두 명의 ‘아내들이’ 자리잡고 있는데, 만족하는 듯 보인다. 전통의 여부를 떠나 이 고독한 여성들의 모습과 서로 좁게 붙어있는 획일적인 옷차림의 무리의 힘을 발산하는 두 무리의 남성들의 모습에서 보여주는 서사는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당시는 흔히 일제강점기의 유산으로 여겨지는 남성 중심 문화에서 남녀관계가 대대적으로 변화하던 시기였다. 또한 개인의 자유와 여성의 사회적 참여가 중시되면서,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팝 아트와 한국의 현대사회가 막 태동하던 시기였다.

작가는 서구화, 한국의 전통주의, 일본 식민지배의 영향이라는 프리즘을 통해 한국 현대사회 구조의 이러한 대변화를 관찰한다. 자신의 예술적 탐구를 통해 오늘날 한국 사회가 지닌 복잡성과 여성의 역할이 안고 있는 복잡미묘함을 강조한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인 연작 '눈이 내렸지만 따뜻했다'와 '노스탤지어' 역시 개인과 집단의 기억에 대한 작가의 예술적 탐구에서 비롯되었다.

작가는 역사적 자료인 흑백 사진과 과거 기록 뿐 아니라, 소중한 가족 사진을 활용하여 피어나는 꽃이 간직한 영원한 아름다움으로 꾸미고 있다. 꽃이 피어나는 과정은 늘 우리에게 기쁨을 주는 자연의 순리이며, 작가는 이러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자신의 감정을 캔버스에 담아내고 있다. 이처럼, 작품 속의 새들도 최대의 자유를 꿈꾸는 작가의 바람을 상징한다.

작가에 따르면, “내 작품들은 집단 기억을 말한다. 나는 전쟁을 직접 겪은 세대는 아니지만 전쟁의 상흔을 가진 내 어머니, 할머니의 아픔을 공유한다. 한국에서는 그런 응어리 진 아픈 마음을 ‘한’이라고 표현한다. 내 작품은 언뜻 화려해 보이지만 애잔한데, 그 ‘한’ 또는 정서의 DNA 와도 닮아 있다.”

 

이 연작들은 한국의 전통 규방 공예를 연상케 하는 엄청난 인내와 노력을 필요로 하는 장시간의 고된 창작 과정을 거쳤다. 작가의 대형작품들은 보는 이로 하여금 그 ‘기억’의 일부분이 된 것 같은 느낌, 오늘날에도 들려지는 이야기의 주인공이 된 것 같은 느낌을 받게 한다. 마치 작가의 한국 옻칠장의 비디오작품 처럼. 그리고 작가의 비디오작품들은 움직임과 음악을 통해 기억에 생명을 불어넣는다. 작가는 전통적인 기법을 현대적인 매체에 접목해 과거의 기억에 개인적이며 신나는 감성을 부여한다.

자개를 이용한 전통적인 작품, 성찰적이고 시간의 흐름에 초점을 둔 창작 과정, 그리고 현대 기술의 사용을 통해 작가는 우리를 추억여행으로 인도한다. 마치 우리가 사진에 포착된 바로 그 기억의 일부가 되기를 원하는 것처럼. 작가는 시아버지의 가족앨범속의 사실 세계를 자신의 작품에서 자주 사용하는 바람에 흩날리는 실크 스카프처럼 그녀의 영혼이 자유자재로 휘날리는, 아름다움이 넘치는 자신만의 화려한 세계와 상호 연관시킨다. 작가의 말을 인용하여, “인생에서와 같이, 제 작품들은 삶 속에서 마주하게 되는 고통과 갈등 등 수많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다시 봄이 오고 화려한 꽃을 피우듯, 희망과 온기를 전하려 한다는 메시지를 전하고자 한다.”

Nostalgia (91cm X 116.8cm) photo printed on canvas, mother of pearl 2022

Nostalgia (91cm X 116.8cm) photo printed on canvas, mother of pearl 2022

The days were snowy but warm (130cm X 90cm) Secret Chamber - Delight, lacquer painted on antique furniture from Jeju Island of Korea, mother of pearl, video monitor 2022

Memory tree (Height 2.8m, Width 1.5m) mixture, 2022

Memory tree

(Height 2.8m, Width 1.5m) mixture, 2022
Not exhibited at the 2022 Venice Biennale

Memories of summer day, video 2022

Memories of four seasons, video 2022

The days were snowy but warm, video 2022

Press Release
Artist Oh Myung Hee reframes the historical female experience in Korea at this year’s Venice Biennale
Mothers, Men and Marilyn: Reflections on a Turning Point

21 March 2022 — Following the Korean War, the country was impoverished and starving. Yet to the women of Korea, the end of the war also ushered in an era of personal liberation. Japanese suppression gave way to a Western democratic system, opening the door to their wider social participation and, following a post-civil war visit from Hollywood superstar Marilyn Monroe in 1953, the doors swung open even further.


Nevertheless, the social undertow of male privilege and inertia meant that progress has been surprisingly slow — and even more marked when set against Korea’s extraordinary economic growth over the last three decades.


It is this tension — and the resonance of female emotions within a patriarchal society — that South Korean artist Oh Myung Hee interprets in her powerful new body of work ‘The Days were Snowy but Warm’, unveiled at this year’s Personal Structures exhibition in Palazzo Mora, Venice at the invitation of the European Cultural Centre.

This exhibition, which runs concurrently with the Venice Biennale next month, is themed around Reflections — a concept that Oh Myung Hee has interpreted through both the cool gaze of the historical long lens and the close-up of deeply personal family stories.


Inspired by a family photograph, discovered in her father-in-law’s album, she was struck by the challenges and contradictions that Korean women have historically had to synthesize in order to access position, purpose and happiness.


The post-war transition meant that women, historically confined to and defined by their role in the extended family for hundreds of years, began to realise their own rights and abilities to contribute to fields such as politics, social affairs, religion and education. Yet this realisation was slow to translate to status.


Mixing old techniques with new materials and technology with old family photographs, Oh Myung Hee uses Hwajo, traditional blossom and birds, in her mixed media work as representations of femininity — a force at once splendid and free — materialising women’s emotions against the historical realities of Korea’s male-dominated society with its underlying Confucianism. Throughout her career, she has also used an image of a flying
scarf to symbolize her desire for freedom. Freedom in all aspects of life, from the chains of traditional society, to her desire to fly like a silk scarf in the wind.

This latest exhibition builds on the powerful energy displayed within her works since she came to prominence in the early nineties with an oeuvre featuring vibrant scarves drifting over green grass. Her paintings and images overflow with colours and emotions that seek to embody the powerful prism of femininity and freedom.

In ‘The Days were Snowy but Warm’, she travels through family stories, via Westernisation, Korean traditionalism and pop culture – notably a 1953 visit by Marilyn Monroe to US troops stationed in Korea. The title of the exhibition paraphrases a Monroe interview quote, in which she describes her performance in front of 17,000 American soldiers as "It was snowing but I felt warm".


The visit, during her honeymoon with newlywed Joe DiMaggio, was courageous even by Western standards and became a crucial catalyst for the women of Korea. Piqued that more fans turned out in Japan to see Monroe instead of him, the baseball player refused to join her in Korea. They divorced later that year.


His loss was Korea’s gain. In choosing to pursue her own road, this beautiful free spirit inspired many Korean women to pursue their own dreams and become who they wanted to be. ‘The Days were Snowy but Warm’ challenges an historical ‘narrative of sorrow’ surrounding Korean women, and considers how we must look back to move forward, living and transforming in one unbroken chain of experience.
 

“My works speak of a collective memory,” says Oh Muyung Hee. “My generation did not directly experience war; nevertheless, we share the pain of our mothers and grandmothers who bore the scars of war. In Korea, the lump in one’s heart that is filled with pain is expressed as ‘Han.’ At first glance, my works might appear flashy, but a closer look reveals the frailty which resembles the emotions of ‘Han’ or the DNA of emotions.


“Today I read another article about an unknown soldier who died in the Korean War finally finding rest in the arms of his family. Though 70 years have already passed, the pain of losing a family member never diminishes, and I believe that as Koreans we can all share the
pain. Even right now, there is another country which is facing such suffering. It is my hope that the pain that Ukraine is suffering will come to an end soon.

“Just as in life, my works aim to communicate the message that though we face pain, conflict and innumerable difficulties, spring comes around again, and just like flowers bloom, so does hope and warmth.”

​보도자료

오명희 작가가 그리는 한국 여성의 이야기,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세계인과 만난다.

어머니, 남성 그리고 마릴린: 전환점에 대한 반영

한국의 오명희 작가가 ECC(European Cultural Centre: 유러피안컬쳐센터)의 초청으로 가 2022년 4월 23일부터 11월 27일까지 팔라조 모라 (Palazzo Mora)에서 열리는 ‘퍼스널 스트럭쳐(Personal Structures)에서 특별전을 갖는다.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한국전쟁 종식과 함께 찾아온 여성들의 해방의 시대에 대한 한국인 집단의 기억을 그린다. 종전으로 갑작스레 맞이한 서양 민주주의에 의한 여성의 역할 변화에 대한 요구와, 전통적으로 가부장제가 정의 내려온 여성의 역할이 혼재하던 시기에 과연 여성들은 어떤 이야기를 하고 싶었을까.

 

새롭게 선보이는 강렬한 연작 ‘눈이 내렸지만 따뜻했다’에서 나타내고자 했던 것은 이러한 갈등과 가부장제 사회에서 공명하는 여성적 정서이다.

'눈이 내렸지만 따뜻했다' 에서 작가는 서구화, 한국의 전통주의, 팝 문화 등을 매개로 여성에 대한 이야기를 꺼낸다. 이 작품은 1954년 마릴린 먼로의 주한 미군 방문당시의 이미지와 그와 대비되는 단색의 한복을 차려입은 전통적인 한국의 여인, 그리고 한쪽에는 한국의 선구적인 페미니스트이자 작가, 예술가인 나혜석을 병치하였다. 전시의 제목은 마릴린 먼로의 인터뷰 중 한 대목을 요약한 것인데, 그녀가 당시 17,000명의 미군 앞에서 가졌던 위문공연을 두고 ‘눈이 내렸지만 따뜻했다’고 회상한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당시 먼로는 남편인 디마지오와 신혼여행 중에 방한을 했는데, 이는 서양인의 기준에서도 대담한 행보였으며 한국 여성들에게는 중요한 촉매제가 되었다. 일본에서 자신보다 먼로를 보기 위해 더 많은 팬들이 몰려왔다는 사실이 언짢았던 야구선수 디마지오는 그녀의 한국행에 동행하길 거부했고, 이 둘은 그 해 말 이혼했다.

 

디마지오의 실(失)은 곧 한국의 득(得)이었다. 자신만의 길을 추구했던 아름답고 자유분방한 여성 먼로는 많은 한국 여성들이 자신들의 꿈을 좇고 스스로 선택을 내릴 수 있는 존재로서의 영감을 제시하였다.

 

'눈이 내렸지만 따뜻했다'는 역사 속 한국 여성들이 오랜세월 공유하던 ‘서러움의 서사’에 도전장을 내밀고, 우리가 하나의 끊기지 않는 경험을 공유하고 살고 있으며, 그 속에서 과거를 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가야 함을 일깨워준다

다음달 베니스 비엔날레와 동시에 진행되는 이번 특별전의 주제는 ‘반영(Reflections)’이다. 작가는 지극히 개인적인 가족사를 역사적인 시선으로 담담하게 먼 발치에서 그리고 가까운 클로즈업으로 전시의 주제를 해석한다.

 

시아버지의 사진첩에서 우연히 발견한 가족 사진에서 영감을 얻은 작가는 역사속 한국 여성들이 자신의 지위, 목적의식, 행복을 누리기 위해 감내해야 했던 도전과 모순에 관심을 갖게 된다.

 

전후 과도기는 역사적으로 수백 년 동안 대가족에서 자신의 역할에 의해 제약되고 정의되었던 여성들이 드디어 정치, 사회, 종교 및 교육 등의 분야에 기여할 수 있는 그들의 권리와 능력을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이 지위로 이행되는 과정은 더디었다.

 

옛 기술과 새로운 소재를 섞고 옛날 가족 사진에 기술을 입히며, 오명희 작가는 전통적인 꽃과 새를 그려 넣는 화조 기법을 통해 멀티미디어 작품에서 한 순간 아름답고 자유로운 힘을 가진 여성성을 표현한다. 유교 사상이 내재된 한국의 남성 중심 사회의 역사적 현실에 맞서는 여성의 감정을 표현하고자 한다. 작가는 그 간의 작품에서 날아가는 스카프의 이미지를 통해 그녀의 자유에의 열망을 표현해오기도 했다. 그 열망은 전통 사회의 구속에서부터 실크 스카프처럼 바람에 날아가고자 하는 열망까지, 삶의 모든 면에서의 자유를 의미한다.

이번 전시는 90년대 초 야생화 핀 들판 위를 날아다니는 생명력 넘치는 스카프가 특징인 작품으로 주목받기 시작하면서부터 줄 곧 작가의 작품에서 나타났던 강렬한 에너지를 바탕으로 한다. 작가의 작품들과 이미지에는 여성성과 자유의 강렬한 프리즘을 구현하는 색과 정서가 넘쳐흐른다.

 

작가는 “내 작품들은 집단 기억을 말한다.”고 한다. 이어, “나는 전쟁을 직접 겪은 세대는 아니지만 전쟁의 상흔을 가진 내 어머니, 할머니의 아픔을 공유한다. 한국에서는 그런 응어리진 아픈 마음을 ‘한’이라고 표현한다. 내 작품은 언뜻 화려해 보이지만 애잔한데, 그 ‘한’ 또는 그런 정서의 DNA와도 닮아 있다.”고 이야기한다.

 

“우리에게는 피할 수 없는 고통과 슬픔 등 수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내 그림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인생에서 꽃을 피우는 봄의 희망과 온기를 전하고자 한다. 봄은 아름답지만 강하다.”

Interview
‘The Days Were Snowy but Warm’ by Oh Myung Hee at Palazzo Mora from April 2022

Diplomatic World: The European Cultural Centre is hosting an exhibition of your works and installations in the framework of Venice Biennale 2022. Why did you go for this project, or rather what inspired you to partake? How does this exhibition fit in your vision of your artistic path?

 

OMH: My works are about human memories. At some point, as I grew older, I discovered my interest in the trajectory of human life and the joy in expressing it in my formative language. So on my canvas, both temporality and historicality came to naturally intersect. This ultimately led me to take part in the Venice Biennale organized by ECC, which showed its interest in nostalgia that exudes in my work. The work embodies the genuine memories of my ancestors, but I wanted to present this work at Venice Biennale because it also talks about a theme that is inherent in all human beings, that speaks to everyone in the world. I am very excited to showcase my work to many cultural and artistic figures on the global stage and European art circles. I believe that my experience in Venice will allow me to take on a new challenge in my career as an artist.

 

 

 

Diplomatic World: The themes behind your art are personal yet also convey general societal messages such as the emancipation of women from very rigid patriarchal societies such as Korea. Do tell us a bit about the story behind the inspiration to this exhibition?

 

OMH: I have always believed that artists are those who are looking for clues to their creations within themselves and expand their horizon to neighboring communities and the world. My father-in-law's old photo album, which I came across by chance, inspired me who had always exhibited an exceptional interest in human life and memory. In the photo album, a picture of my grandfather, together with his “main wife (bon-cheo)” and the “second wife (cheop)” clearly shows how patriarchal Korean society was at that time, and I wanted to bring to life the memories of these old women who had to live with pain in this male-centered society. Moreover, the group photos represent the vivid accounts of everyday lives of Koreans and the history of Asian culture that endured harsh times.

 

 

 

Diplomatic World: The emancipation of women, pulchritude and societal changes are constants of your œuvre; how does the artistic process of making your works emancipate you as an individual?

 

OMH: I have been painting scarves twirling on the canvass since I was young, for more than 30 years. It is indeed a world of the feminine, placing women at the core. A scarf, twirling freely by the wind, up in the sky, across the field of wildflowers, is a self-portrait, my true self, who is free from all restraints and prejudice. This helped me to establish my creative universe, and I feel saved and emancipated within as I paint the utterly free existence in nature. That scarf at times becomes a bird or a butterfly, crossing time and space.

 

 

Diplomatic World: In an iconic picture of your exhibition, and the one that reflects upon its title, you bring Marylin Monroe’s visit to Korea in 1954 to the fore, as a contrast to the patriarchially dominated images of Korean women, even of your own ancestors. What stands behind this scene?

 

OMH: The solo exhibition at ECC-Venice Biennale will bring the past and present together and the memories and reality into contact. The East also meets the West. Marilyn Monroe, a world-famous American star who visited Korea to boost the morale of the US troops in the wake of the Korean War, brought warmth to the Korean society, which at the time had been frozen as hard as the February’s cold weather in Korea. By placing in contrast, Marilyn Monroe, the icon of pop culture on one hand, and the traditional Korean women, these typical devoted mothers upholding the conservative values while persevering and taking care of their families on the other, the painting tries to depict the encounter between the traditional Korean society and the modern Western society through the same tree.

 

 

 

Diplomatic World: Taking a reference to the war in Korea, and its aftermath, there are parallels with the ongoing conflict in Ukraine. How do you perceive it, and does it affect the significance of your exhibition vis-à-vis the audience?

 

OMH: The Korean War in 1950 left the Korean Peninsula divided into two, and we are the only divided nation in the world. Just like Ukraine today, we were able to defend the found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with the help of the U.S. and the U.N. forces at the time, and I think that is why Koreans feel more connected and empathetic to the Ukrainian crisis. Because I did not explicitly  represent this similarity during this exhibition, the audience may not find the direct link in my work. However, in a broader sense, I wish to convey hope and warmth through the flowers that bloom and the birds that fly high again amidst the severe winter snow, just like in ‘The Days Were Snowy But Warm’.

 

 

 

Diplomatic World: Back in 2017 you were exhibited at the prestigious Saatchi Gallery in London. Your show back then at Saatchi was titled ‘A Journey of Transformation’, who do you connect it to ‘The Days Were Snowy But Warm’?

 

OMH: Having majored Oriental painting at an art high school, art college, and graduate school and studying Japanese painting in Japan, I have always pursued a journey, exploring to expand and evolve my creative style and techniques, using not only oriental painting techniques but also  Japanese color painting techniques, gilt, western materials and working on two-dimensional paintings using traditional mother-of-pearl and lacquer of the East and three-dimensional works, videos, and multimedia. My artistic journey has always been about seeking constant changes and memories. Hence, the scarf from ‘A Journey of Transformation’ at Saatchi Gallery in London has now flown all the way to ‘The Days Were Snowy But Warm. ‘

​인터뷰

Diplomatic World: ECC가 교수님의 작품들을 2022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주관하게 되었습니다. 왜 이 프로젝트를 선택하셨는지,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시기로 한 결정이 무엇에서 영감을 받으신 건지? 이 전시가 교수님의 아티스트로서의 커리어에 가지신 비전에 어떻게 부합하는지?

내 작품은 인간의 기억에 대해 얘기한다. 언제부터인지 나이가 들면서 인간 삶의 궤적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고 이를 나만의 조형언어로 풀어 표현하기를 즐겨왔다. 따라서 나의 화폭에는 자연스럽게 시간성과 나아가 역사성이 함께 교차하게 되었다. 마침 내 작품 안에 Nostalgia에 관심을 보인 ECC가 주관하는 베니스 비엔날레 작품전에 참여하게 됐다. 내 선대의 진솔한 기억들이 담긴 작품이지만 세계인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인간 본연의 테마이기에 비엔날레에서 선보이고 싶었다. 글로벌 무대의 수많은 문화예술계 인사들 유럽의 미술관계자들에게 내 작업을 펼쳐보이게 돼 기쁘다. 베니스에서 이 같은 경험은 내 작가 이력에 큰 도전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Diplomatic World: 교수님의 작품 속 테마는 개인적인 이야기이면서도 한국 가부장적 사회로부터의 여성 해방과 같이 사회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합니다. 이번 전시의 이러한 테마에 영감을 받게 되신 뒷이야기를 조금 부탁 드립니다.

나는 늘 작가는 자기 자신 안에서 작업의 실마리를 찾기 시작해서 이웃과 세계로 넓혀가는 작업을 하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 우연히 접하게 된 시아버님의 낡은 사진첩은 인간의 삶과 기억에 유난히 관심이 많은 내게 커다란 영감을 주었다. 사진첩 안에 할아버지와 본부인과 첩이라 불리우는 둘째 부인 사진은 그 당시 가부장적인 한국사회의 모습을 역력히 보여주는 한 장면이었고 이런 남성중심의 사회 속에서 아픔을 갖고 살아야 했던 옛 여인들의 기억을 오늘로 불러내고 싶었다. 또한 집단 사진들에서는 한국인의 생생한 삶과 엄혹한 시대를 견딘 아시아 문화사를 엿보게 하였다.

Diplomatic World: 여성의 해방, 아름다움, 사회 내 변화 등의 주제는 교수님 작품들에 항상 등장하는 주제 같습니다; 작품 작업하시는 과정이 한 개인으로서 교수님을 어떻게 해방시키는지?

젊은 날, 30년도 넘은 세월 이전부터 나는 스카프가 화폭을 마음껏 날아다니는 모습을 그려왔다. 지극히 여성적인 세계요, 여성이 극대화 된 작업이다. 하늘을, 야생화 핀 들판을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스카프는 여러 굴레로부터 어떤 편견으로부터 속박되지 않는 나의 본 모습이고 자화상인 셈이다. 이는 확실한 나만의 작품세계를 확립시켜 주었고 자연 속에서 한없이 자유로운 존재를 그림으로써 나의 내면은 구원받고 해방감을 느낀다. 그러한 스카프는 때로는 새가 되기도 하고 나비가 되기도 하면서 시공을 넘나든다.

Diplomatic World: 이번 전시의 제목을 반영하는 상징적 작품에서는, 마릴린 먼로의 1954년 한국 방문과 가부장적 사회에서 지배를 당하는, 교수님의 조상들이기도 한 한국 여성들의 사진이 대조적으로 배치되었습니다. 이 장면들이 상징하는 것은 무엇인지?

이번 베니스 ECC에서의 개인전은 과거와 현재를 만나게 하고, 추억과 현실이 맞닿는 작업을 선보인다. 동양과 서양도 만난다. 한국전쟁 직후  미군을 위문하기 위해 내한한 미국의 세계적인 스타 마릴린 먼로는 한국의 2월의 날씨만큼 꽁꽁 얼어 붙어있던 한국사회에 따뜻한 온기를 불러 일으켰다. POP문화의 심볼인 마릴린 먼로와 여전히 보수적인 가치를 지키며 헌신하고 인내하면서 가정을 지키는 전통적인 어머니인 이 두 여인을 배치시킴으로써 한국의 전통사회와 현대의 서구사회가 동일한 한 그루의 나무를 통해 만나게 되는 모습을 그렸다.

Diplomatic World: 한국의 6∙25전쟁과 그 여파에 대해 생각해보면, 현재 일어나고 있는 우크라이나 내 전쟁과도 유사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 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또 이러한 유사성이 관중이 직접 마주하게 될 교수님의 전시에 영향을 미치는지?

1950년 한국전쟁으로 인해 남북은 둘로 갈라졌고 한반도는 전지구상에서 유일하게 분단을 겪고 있다. 우리 역시 지금의 우크라이나처럼 그 당시 미군과 유엔(U.N)군의 도움을 받아 지금의 대한민국의 토대를 지킬 수 있었기 때문에 우크라이나 사태가 남의 일 같지 않고 한국인은 보다 더 동질감을 느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유사성을 이번 전시에 표현하진 않았기 때문에 관중이 직접적으로 내 작품에서 연관성을 찾아 내지는 못하겠지만 크게 보면, 내 작품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눈이 내렸지만 따뜻했다”처럼 혹독하게 추운 겨울의 눈이 내리는 역경 속에서도 꽃이 피어나고 새가 다시 날듯이 희망과 따뜻한 온기를 전하려고 한다.

Diplomatic World: 지난 2017년에는 런던의 명망 높은 Saatchi 갤러리에서 전시회를 가지셨습니다. 당시 전시의 제목은 ‘변화의 여행(A Journey of Transformation)’이었는데요, 이번 전시 제목인 ‘눈이 내렸지만 따뜻했다(The Days Were Snowy But Warm)’과 어떻게 연관을 지으시는지?

예술고등학교와 미술대학, 대학원에서 동양화 전공을 하고 일본에서 일본화 연구를 한 나는 동양화의 기법 뿐만 아니라 일본 채색화, 금박기법, 서양화 재료는 물론 동양의 전통적 자개와 옻칠을 활용한 평면 작품 그와 더불어 입체 작품, 영상, 멀티미디어 등으로 기법을 확장하고 끊임없이 기법적인 변화를 지향하는 여정이었다. 나의 예술 여정은 변화를 쫓는 여정인 동시에 메모리를  쫓는 여정이기도 하다. 런던 사치갤러리에서 날아온 변신의 여정(Jurney of Transformation) 스카프는 이제 비엔날레의 눈이 내렸지만 따뜻했다(The days were snowy But warm) 까지 날아온 것이다.

20220611_glasstire_1.jpg
20220611_glasstire_2.jpg
20220611_glasstire_3.jpg
20220610_culturefuture.jpg
20220509_diplomatmagazine.jpg
20220422_cawmedia.jpg
20220422_Art-Plugged.jpg
20220421_Widewalls.jpg
20220414_wikiart.jpg
20220804_Trebuchet-magazine.jpg
20220406_fadmagazine.jpg
20220406_hapskorea.jpg
20220404_Independent.jpg

 Amina Mohamed : Sports, Heritage and Culture in Kenya

Lectures to University of Venice students

Copyright notice

All rights reserved Oh Myung Hee. This website is protected by copyright laws. Any re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part or all of the contents in any form is strictly prohibit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