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GANA Atelier
(print bakery)

Invited planning solo Exhibition, GANA gallery, Seoul

Reviews
Glorious Vanitas

: The Art World of Oh Myung Hee

Jun Yeongbaek

Professor of Hongik University

Revealing spirit as a physical matter, is an art

 

Creating art means making an abstract concept and a delicate emotion into a physical matter. It is also applicable in painting, sculpture, and installation. It is difficult to express an original emotion since an artwork's plan is lyrical and the material is solid. Therefore, it is normal that the complicated-process artwork focuses on decoration and visual attraction. It is also because the artist's conceptual intentions. emotional expressions cannot actually be free from t flexibility of the materials.

 

However, Myunghee Oh is a little different. She expresses dual emotions(happiness and sadness) as a concrete figure by using either delicate material: mother-of-pearl or adding birds, flowers, and trees. To enjoy and maintain the full bloom of nature's delicate life, the material fixes to a flat surface and hardened like stuffed. It takes time, patience, and devotion. How difficult to deliberate delicacy and trembling textures through solid material. Birds, flowers, trees, moon, and cherry blossoms were born again with vivid colors and splendid lights that reflected from mother-of-pearl.

 

1(the author) would like to say Oh's artwork captures fleeting beauty and the zenith of vanishing; admiring the aesthetic of life's vanitas. She handles the moment that each vanishing creature exudes its authenticness. Likewise, the joy of life under the premise of sadness expressed as bright and dim sorrow.

 

The forest was full of willows, serene movement of cherry blossom. On a rainy day, spring romance merges with leaves. A scarf full of petals carries longing and only fetching petals exist instead of me.

 

Oh's birds, flowers, and willow trees reflect one's imagery. Her vivid painting and mother-of-pearl series are neither pleasures of eyes nor decorations. Those are the lyric poetry of vanitas.

An Aesthetic of 'Slow and Serene Movement (Jeong Joong Dong)': Slowly and Freely

 

Myunghee Oh's common motif is 'scarf' since the early 1990s. One day, she saw a black plastic bag flying around without any direction, she was so fascinated that she could not even take her eyes off of it. It can be considered as a trifling object, but she had a totally different perspective. The black plastic bag danced and followed the direction of the wind. To her, it was the movement of freedom that can get rid of the pressure of a Korean woman who always have tremendous responsibilites of family. It was her desire to be free from society as a woman.

 

Oh has started to paint the scarf to implicate the theme of 'freedom'. The series is a landscape scene that scarf carries wildflowers on the grassland. It is a motif that reflects her inner-ego and makes her feel a catastrophe. The scarf flies around the grassland on behalf of her. Its spontaneous movement on the flower bed is quiet but also cheerful. Jeong Joong Dong(); slow and serene movement. This active and rhythmical movement reminds us of the moment that cherry blossoms' leaves falling down from trees recklessly. Soft but free movement. Shiny petals that reflect lights, fly freely like the scarf, and soon these disappear with the wind.

Escaping from a Flat Surface: An Experiment of various materials and New Media

 

Myunghee Oh is an artist who is not afraid of using new materials and media. She is an expert in using not only mother-of-pearl but also diverse pigments such as oriental paint, oil, and acrylic. In 2006, while she lived in Tokyo, Japan, she learned the gold foil technique from the masters (An interesting fact is that she was asked to be taught since she developed her own technique). Also, she uses black-and-white photographs that contain her childhood memories. Those ar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anvas and add colorful willow and cherry blossom trees made by mother-of pearl. Recently, she started to use media. There are so many artists who apply different types of materials, but I have never seen an artist like Myunghee Oh. She crosses various media. Moreover, she surprises us again with her large scale artworks and fearless experiments as a feminine artist who is fairly petite.

 

In 2014, especially, Oh started the media artwork. She transformed her painting series into silent and slow movement. The movement seems like water is flowing and also the size of the media work actually attracts the viewers. The viewers can see Korean sentiment at the glance since Jeong Joong Dong's aesthetic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combine together. The media work that combined with Oh's western painting and modern music reflect sophisticated Koreanity, Birds and flowers fly and dance in her artworks. Oh modernizes the tradition.

 

Oh has started her color painting series starting with Korean traditional painting, ink-and-wash painting. However, she applied oil painting and stone dust to create layers of textures. It was because she had a longing for three-dimension. Her longing also applied to her mother-of-pearl series. Appling mother-of-pearl on each petal created a stereoscopic effect on her paintings, and its unique and brilliant light properly showed the various colors that she pursued.

Being Korean to reach the world: Najeonchilgi(Korean traditional lacquerware) and Maternalism of Korea

 

People are attracted to others who express different personalities, and it is applicable to cultures also. Cultural excellence can be recognized when people are proud of and express the differences that they each have. However, when I think about Koreanity in contemporary art, I honestly cannot think about anything.

 

Mother-of-Pearl or Najeonchilgi are the materials that anyone can feel 'Koreanistic'. However, the problem is that no matter how good it is, it is only considered as a souvenir and not related to our daily life and culture. It is a chronic matter that our tradition cannot succeed in modernization. Myunghee Oh's mother-of-pearl works have started in 2009. While I look at this series, I feel that she is the one who can solve the problem that I have discussed, and make me remind of Discovering a forbidden time' written by Marcel Proust. Like a madeleine bread melts on my tongue and summons my childhood memories, mother-of-pearl's rainbow light and scent summons Korean's maternalism. To Koreans, it reminds the cabinet that has mother's wedding jewelry and a ramie jacket made by grandmother. It is not a coincidence that Oh got attracted to mother-of-pearl due to her longing for materiality and childhood memories. The fact that her working method resembles her mother's handcraft technique, and also makes her connected to motherhood.

 

In the Western culture,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Korean motherly sentiment. However, from the western point of view, it deserves attention through the exoticism of Korean materials. It is not a surprise that Oh was spotlighted from Saachi Gallery, London in 2017. The unique completeness, Byeongpoong(folding screen) composition, and delicate aesthetics, which are hard to see in the West, seem to have been attractive to Charles Saachi, who extended Oh's exhibition. From a global aspect, mother-of-pearl is valuable as modern art's material since it sparks diverse colors from each different perspective. Moreover, her artworks are usually have two to three sides' folding screen composition that can either separated or attached. It can be considered as a flexible post-modern movement. Her artworks represent Korean aesthetics from a modern perspective.

 

Myunghee Oh's series are multi-layered in terms of cultural properties, along with using various media across genres and various materials such as mother-of-pearl, varnish, and many others. Affectionate but also pathetic Korean aesthetic meets highly refined Japanese aesthetics and sophisticated Western designs, and reborn as global artworks that contain Oh's unique identity as Korean. It is important to globalize Korea's aesthetics. It is the reason why Myunghee Oh is so important in Korea's art world, who creatively modernizes our traditional art.

평론

삶의 덧없음, 그 화려한 애상

전영백

미술사학자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미술은 정신을 물질로 드러내는 것이다

 

미술작업이란 추상적 개념이나 섬세한 정서를 어떤 형식이든 물질로 만들어내는 일이다. 회화, 조각 혹은 설치 모두 마찬가지다. 여기서 작업 구상이 서정적일수록 그리고 재료가 견고할수록 애초의 감성이 제대로 표현되기가 어렵다. 그래서 수공이 많이 요구되는 작업은 장식성에 치중되거나 시각적 미감에 그치는 경우가 대다수다. 작가의 개념적 의도나 정서적 표현은 실제로 재료의 유연성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오명희의 경우는 독특하다. 작가는 기쁨과 슬픔, 그리고 종종 양자가 동시에 느껴지는 이중 정서를 자개처럼 견고한 재료와 화조, 버드나무 등 구체적 형상으로 표현해 낸다. 자연의 연약한 생명들이 만개한 모습을 만끽하고 최대한 유지하기 위해, 평면에 고정시켜 박제하듯 굳힌다. 오랜 시간과 지난한 수공의 노동이 개입되고, 고도의 인내력과 정성이 요구되는 작업이다. 섬세한 정서와 하늘거리는 느낌을 자개붙인 딱딱한 물질로 나타낸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이가. 정신을 물질로 드러내는 일이 그런 것이다. 이런 과정을 거친 화조, 버드나무, 달 그리고 벚꽃은 단단한 고체에 반사된 영롱한 빛으로 또 화려한 채색으로 거듭 태어난다.

 

그렇기 때문에 오명희의 작업은 순간으로 사라지는 덧없는 아름다움, 아스라이 소멸되는 것의 절정을 포착하고 있다. 말하자면 삶의 덧없음(vanitas)을 예찬한 미학이랄까. 소멸되는 생명들이 제각기 아름다움을 한껏 발산한 순간을 다룬다. 이렇듯 슬픔을 전제로 한 생의 기쁨은 아련하고도 화려한 애상(哀想)으로 표현된다.

 

버드나무 가지가지 늘어진 녹음, 눈처럼 휘날리는 벚잎의 고요한 움직임. 아지랑이 나른한 봄의 설렘은 비오는 날 젖어드는 풀잎의 녹향에 가라앉고.

옅은 빛 그리움은 꽃무늬 스카프에 실려 닿을 듯 말 듯 바람따라 넘실거리면 어느 새 나는 여기에 없고 흐드러진 꽃잎만.

 

오명희의 화조나 능수버들은 자연의 모습을 그대로 본 딴 것이 아니라 심상(心象)을 투여해 나타낸 것이다. 그의 화려한 채색화와 자개작품은 단순히 장식이나 눈의 쾌락이 아니다. 덧없이 사라지는 것을 위한 서정시다.

 

‘정중동(靖中動)’의 미학: 천천히 그리고 자유롭게

 

오명희가 자주 활용하는 모티프는 스카프다. 그에 대한 발상은 30년 쯤 된 모양이다. 90년대 초였던가. 그는 햇볕 가득한 어느 날 검정 비닐봉지 하나가 날라 다니는 것을 보고 문득 그 방향 없는 움직임에 눈을 못 뗄 정도로 매료돼 하염없이 바라봤단다. 너무도 하찮은 것이었지만, 바람에 의해 방향 없이 떠돌아다니는 비닐봉지가 마치 춤추듯 즐겁고 자유롭게만 느껴졌다던 작가. 그 당시 자신의 심정과 상황이 투사된 상태에서 본 미물의 움직임은 세 아이의 엄마로서의 책임과 가정을 지키는 한국 여성이 감당해야 하는 버거움을 한 순간 떨쳐버리는 자유로운 몸짓이었던 것. 그것은 사회적 역할에서 자유롭고자 하는 작가로서의 갈망이기도 했다.

 

그래서 오명희는 이러한 느낌을 함축하는 스카프를 채색화로 그리기 시작했다. 초원이 펼쳐지고 야생화 가득한 꽃밭 위를 스카프가 나르는 풍경이다. 스카프는 그가 자신의 내면을 투사하며 일종의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모티프다. 이렇듯 의인화된 스카프는 작가를 대신하여 마음껏 들판을 날라 다닌다. 화려한 꽃밭 위 스카프의 즉흥적 움직임은 조용하면서도 경쾌하다. 고요히 움직이는 정중동의 움직임. 그 흥겹고 활달한 제스춰는 마치 벚꽃이 마구 휘날릴 때의 모습과 닮아있다. 부드럽고도 자유로운 춤사위. 반사된 빛으로 인해 반짝이며 흩날리는 꽃잎들은 바람을 애무하듯 오무렸다 펴지는 스카프처럼 자유롭게 날아간다. 어디서 오는지 모르는 바람을 머금고 멀리 사라져간다.

 

평면의 탈주(脫走): 다양한 재료와 새로운 매체의 실험

 

오명희는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매체의 실험을 시도하는 작가다. 놀랍도록 여러 매체와 재료를 변용하는데, 그의 주재료로 알려진 자개 작업 외에도, 회화 작업으로 동양화 채색, 유화 및 아크릴 등 다양한 안료를 자유롭게 구사한다. 표면에 입힌 정교한 금박 기법은 2006년 도쿄에서 체류한 1년 동안 전수받은 것이다. (그는 일본 장인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금박과 석채를 활용하여 그들로부터 가르침을 요청받기도 했다.) 또한 과감하게 사진을 도입하여, 어린 시절 기억이 깃든 흑백사진들을 작업 표면에 배접한 후 그 위에 화려한 능수버들이나 벚꽃을 자개로 붙이기도 한다. 최근에는 영상 매체까지 적극 활용하고 있다. 오늘날 다양한 작업을 하는 작가들이 많으나 오명희처럼 여러 매체를 종횡무진하는 작가를 본 적이 없다. 더구나 아담한 체구에 여성성이 두드러진 작가가 거대한 스케일의 작업과 대담한 실험을 거듭하는 것은 그 놀라움을 배가시킨다.

 

특히 2014년경부터 착수한 영상작업은 따로 주목할 만하다. 그의 영상은 작가 자신의 기존 회화를 활용하되 이를 고요하고 느린 움직임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유동적 화면은 물 흐르듯 흘러가는데, 스케일이 큰 작업은 환상적 분위기로 관람자를 압도한다. 정중동의 미감이 십분 발휘되는 영상미에 국악이 얹혀 지니 한국적 정서가 한 눈에 펼쳐진다. 그러나 서구적 이미지와 현대적 음악이 어우러져 만드는 동영상은 고루한 옛 것이 아닌 세련된 한국성이다. 전통 화조화가 명품 디자인이 되어 화면에서 나르고 흩날리고 춤춘다. 전통을 현대화하는 자기만의 스타일이 돋보인다.

 

작가는 처음에 화선지에 수묵으로 그리는 전통 수묵화로 시작하여 채색화로 진행하였다. 그런데, 점차 다른 시도를 해가며 작업이 평면에서 도드라지는 방식이 된 것은 그가 가진 입체에 대한 갈망 때문이었다. 다른 채색화가와 달리 오명희는 배접지에 분채를 칠하면서 평면에서 전면으로 돌출되는 작업을 꾀하기도 하고, 한국화에서 벗어나 캔버스에 질감이 풍부한 유화작업을 하거나 화면에 돌가루를 붙이기도 했다. 자개의 도입도 이렇듯 화면을 탈주하려는 작가의 의도가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꽃잎에 자개를 붙이면서 화면의 입체적 효과를 얻었는데, 여기에 자개 특유의 영롱한 빛은 그가 추구한 화려한 색감을 제대로 나타냈던 것이다.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이다: 나전칠기와 한국의 모성

개인만 해도 남과 다른 개성을 갖고 이를 드러내는 이가 매력적인데, 일국의 문화는 더 말할 나위가 없다. 타문화들과 구별되는 우리만의 차이를 자부하고 이를 표현할 때만이 문화적 우수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 그런데 오늘날 현대미술에 한국적인 것으로 남아있는 게 무엇인가 생각해보면 솔직히 떠오르는 게 거의 없다.

 

그나마 자개 혹은 나전칠기는 누구든 바로 ‘한국적’이라 느끼는 재료이자 공법이다. 문제는 그것이 아무리 훌륭해도 관광용 선물이나 옛 기념품으로만 여겨지지 오늘의 일상과 문화에 잘 연관되지 못한다는 데 있다. 우리의 전통이 현대화에 성공하지 못하는 고질적 문제다. 오명희의 자개작업은 2009년경부터 시작되었는데, 이 작품들을 보며 그러한 우리의 문제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면서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떠올린다. 프루스트에게 한 조각의 마들렌이 혀끝에서 녹아들며 까마득히 잊었던 어린 시절의 기억을 생생히 소환했듯, 자개 특유한 냄새와 반짝이는 무지개빛이 불러오는 건 누가 뭐래도 한국의 모성이다. 자개는 한국인에게 어린 시절 보았던 어머니의 귀한 폐물이나 할머니가 손수 만든 모시저고리가 담겨있던 안방의 자개장을 떠올리게 한다. 이러한 모성에의 그리움과 어린 시절의 기억이 작가를 자개라는 재료에 끌리게 한 계기였던 것도 우연이 아니다. 그의 작업방식이 끊임없이 손을 놀리며 작업했던 어머니들의 수작업을 닮아있다는 것도 모성적 연계를 느끼게 한다.

서구에서는 이렇듯 애잔한 한국적 모성 정서를 알 리 만무하다. 그러나 그들의 시각에서 보아 재료와 소제가 주는 이국성(한국성)만으로도 충분히 주목받을 만하다. 2017년, 오명희 작업이 런던 사치(Saachi) 갤러리에서 각광받았던 것은 어쩌면 당연해 보인다. 한국의 미술작품이 갖는 특유의 완성도와 병풍 구성, 그리고 서양에서 보기 어려운 수공예의 섬세한 미감은 찰스 사치가 직접 전시의 연장을 지시할 정도로 매력적이었던 모양이다. 글로벌 시각에서 보아, 자개는 현대적 재료로도 가치가 있는데, 빛의 각도에 따라 변화되고 관람자의 시각에 따라 색이 다르게 보인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덧붙여, 그의 작업이 대체로 병풍처럼 두 쪽이나 세 쪽을 펼치는 구성이고, 원하면 분리할 수도 붙일 수도 있기에 서구에선 볼 수 없던 유동적인 포스트모던 방식이라 말할 수 있다. 현대적 시각에서도 해외에서 돋보이는 한국의 미학을 우리만 모르고 있는 듯하다.

오명희의 작업은 장르를 넘나드는 여러 매체의 활용, 그리고 자개, 옷칠, 석채를 포함한 다양한 재료의 표현과 더불어, 그 내용이 갖는 문화적 속성 또한 다층적이다. 정겹고 애잔한 한국적 고졸미는 고도로 정제된 일본 미학 그리고 세련된 서구 디자인과 만나 글로벌 작업으로 거듭나 그만의 독자성을 담보하고 있다. 한국 미학의 세계화가 절실한 오늘, 오명희와 같이 우리의 전통미술을 독창적으로 현대화하는 작가가 중요한 이유다.

Artist's note

2021
Oh Myung Hee

The feminine desire has always been concealed. Desire to be beautiful is often passively objectified and easily denied its standing as a desire. Our society has repeatedly required women to be beautiful, yet never desire such beauty.

"Beauties die young."

I aim to limitless acknowledge the denied femininity. Thus, my works also acknowledge femininity. It is not simply another ideology that one has to be beautiful - instead, it acknowledges the lifelong pursuit of beauty.

I am not particularly fond of having the prefix "female" before my identity as an artist. However, I hope to be feminine incarnate at least within the world depicted in my canvasses. By using traditionally Eastern decorations, most notably the mother-of-pearl elements, I maximized the decorativeness that has traditionally been characterized as feminine. Like the term "feminine writing" in literature, my works represent feminine drawing. While a representation of extravagance by itself, a feminine desire to pursue beauty should be kept under a watchful eye.

작가노트

여성의 욕망은 은폐되어왔다.

아름답고자 하는 여성의 욕망은 수동적으로 대상화되어 욕망하는 주체로서 설자리를 쉽게 부정당하곤 한다.

우리 사회는 여성에게 아름다워야 하지만 아름다움을 욕망해서는 안 된다고 이야기해왔다.

‘가인이면 박명하다.’

나는 부정돼 온 여성성을 한없이 긍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내 작품 역시 여성성을 긍정한다.

아름다워야 한다는 또 다른 이데올로기가 아니다.

미 (美)를 쫓는 생(生)의 긍정이다.

아티스트로서 굳이 '여류' 타이틀은 별로 좋아하지 않지만 내 작품 세계에서만큼은 오롯이 여성적이고자 한다.

자개 등 동양의 전통공예 요소까지 차용하여 여성적으로 대표 돼온 장식성을 극대화하려 하였다

문학에서 여성적 글쓰기라는 말이 있다면 내 작업은 여성적 그리기를 보여주고자 한다.

아름다움을 좇는 여성의 욕구는 사치이며 경계해야 한다고 말한다.

Copyright notice

All rights reserved Oh Myung Hee. This website is protected by copyright laws. Any re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part or all of the contents in any form is strictly prohibited.

bottom of page